■ 1. 해양 광학계의 기본 변수와 해수 광전달의 물리적 원리해양에서 빛이 전달되는 과정은 흡수(absorption)와 산란(scattering)이라는 두 가지 기본 광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. 흡수계수(a(λ))는 특정 파장(λ)의 빛이 수중 물질에 의해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사라지는 정도를 나타내며, 산란계수(b(λ))는 빛이 수중 입자 또는 분자와 충돌하여 방향이 바뀌는 정도를 의미한다. 이 두 요소의 합인 감쇠계수(c(λ)=a(λ)+b(λ))는 해수 내 빛의 감쇠 속도를 나타내고, 이는 수중 광환경과 1차 생산성, 수온구조, 생태계 패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. 해양은 ‘이상적인 투명 매질’이 아니며, 빛은 해수 자체의 분자 산란뿐 아니라 용존 유기물(CDOM), 부유입자, 식물플랑크톤, 미..
■ 1. 심해 저서환경의 구조적 특징과 에너지 공급원의 근본적 제약심해 저서환경(benthic deep-sea environment)은 수심 2000~6000 m 이상에서 형성되는 극한 환경으로, 빛이 도달하지 않는 완전 암흑층이며, 낮은 온도·고압·느린 순환 등 독특한 물리·화학적 특성을 가진다. 이 해역은 대기·광합성 기반 생산이 차단되어 1차 에너지 공급원이 거의 없으며, 대부분의 에너지가 표층에서 유래한 유기물 입자(POC; particulate organic carbon)의 침강에 의해 공급된다. 그러나 표층 생산물 중 단 1~3%만이 심해 저층에 도달하므로, 에너지 공급은 극도로 제한적이며 생물군은 느린 성장률·긴 수명·낮은 대사율로 적응한다. 또 다른 에너지 공급원으로는 열수분출구(hydro..
■ 1. 해양 탄소펌프의 구성요소와 대기-해양 시스템에서의 역할해양 탄소펌프(carbon pump)는 대기 중 CO₂가 해양으로 흡수되고, 해양 내부로 저장되는 과정을 총칭하는 개념으로, 물리학적 펌프(physical pump)와 생물학적 펌프(biological pump)라는 두 축으로 구성된다. 물리학적 펌프는 해수의 용해도(solubility) 변화와 수온·염분·밀도 구조에 의해 CO₂가 심층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의미하며, 생물학적 펌프는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으로 고정된 탄소가 먹이망과 침강을 통해 심층으로 이동하는 생물 기반 저장 과정이다. 해양은 인류가 배출한 탄소의 약 25%를 흡수해 완충 역할을 수행하며, 이 두 펌프의 효율 변화는 지구 기후 시스템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. 표층에서 C..
